[앵커]<br />원 달러 환율이 지난주에 14개월 만에 천백 원 선 아래로 떨어지더니 큰 움직임을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어제는 미국 연방준비제도 위원들이 잇따라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언급하면서 국제 금융시장에 어느 때보다 불확실성이 큰 상황인데요.<br /><br />경제부 염혜원 기자와 함께 짚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결정 뒤 출렁였던 환율이 최근 들어 다시 한 번 들썩이는 모습인데요.<br /><br />원 달러 환율이 떨어지다 보니 최근 들어 특이한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고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최근 석 달 동안의 원·엔 재정환율 그래프입니다.<br /><br />엔화는 브렉시트 결정 이후 급격하게 상승하다가 7월 중 급하강했죠.<br /><br />최근 다시 100엔에 천90원대로 조금씩 상승하며 엔고에 시동을 걸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번에는 원 달러 환율 그래프입니다.<br /><br />7월 초부터 꾸준하게 떨어지고 있는 모습입니다.<br /><br />이렇게 하락하다가 어제는 장중에 원 엔 환율보다 원 달러 환율이 더 낮아져 버렸습니다.<br /><br />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결정 뒤 이런 현상은 장중에 3번 정도 발생했습니다.<br /><br />이유가 뭘까요?<br /><br />하반기 들어 원화와 엔화 모두 달러화에 비해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그런데 비교해 보니 원화의 절상 폭이 엔화보다 훨씬 컸습니다.<br /><br />7월 이후 달러화 대비 원화의 절상 폭은 5.46%인데, 엔화는 1.63%에 그쳤습니다.<br /><br />엔고로 일본 경제가 비상이 걸렸다는데 원화가 그보다 더 올라버린 겁니다.<br /><br />이런 탓에 상반기에 무려 16.5%나 올랐던 원 엔 환율은, 하반기 들어 상황이 180도 달라지며 3.9% 하락했습니다.<br /><br />전문가들은 원화 강세의 배경을 크게 4가지 정도로 요약합니다.<br /><br />브렉시트 이후 선진국 중앙은행들이 금리를 낮추며 돈을 풀고 있고, 이에 따라 국내 주식과 채권 시장에 외국인 자금이 대거 들어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또 우리나라가 경상수지 흑자를 기록한 데다가 얼마 전 S·P가 신용등급을 상향조정 한 영향도 받았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환율에 가장 민감한 건 아무래도 수출 기업 아니겠습니까? <br /><br />영향을 얼마나 받을까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우리보다 먼저 달러 대비 강세를 보인 일본의 사례를 보겠습니다.<br /><br />세계 2위 자동차 업체 토요타는 1분기 영업이익이 지난해 대비 15%나 떨어졌습니다.<br /><br />환율 영향을 뺄 경우엔 영업이익이 1년 전보다 오히려 올랐는데도, 엔화 강세 탓에 결과적으로 손실이 우리 돈으로 2조 5천억 원을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pn/0490_20160817160303168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